본문 바로가기

약초40

별꽃 생김새 특징 활용법 먹는법 효능 효과 부작용 정리 볓꽃은 그 모습이 별과 같은 풀이다. 식물의 모든 부위가 별 모양을 띄기 때문에, 한번 본다면 왜 별꽃이라고 불리우는지 알 수 있다. 오늘은 별꽃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과 효능 활용법 등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별꽃 별꽃은 석죽과에 속하는 식물로 생약명은 번루이다. 이외에도 자초 또는 빈쿨이라고도 불리운다. 꽃받침과 꽃잎, 그리고 피어있는 모습 모두가 별모양을 나타내기 때문에 별꽃이라고 불리운다. 꽃이 필 때 꽃받침만 봐도 별 모양을 가지고 있꼬, 꽃잎도 별 모양, 꽃이 피어있는 식물 전체의 모습도 별과 같다. 실제로 속명도 Stellaria로 별을 뜻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밭, 길가 등에서 자라난다. 월년초로 가을에 파종하여 겨울을 나고, 4~6월에 꽃이 핀다.원줄기는 높이가 15~30.. 2023. 2. 9.
범의귀 생김새 특징 성분 효능 먹는법 활용법 부작용 정리 범의귀는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예로부터 아이들의 경련에 특효약으로 취급되어 왔다. 오늘은 범의귀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과 효능 활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범의귀 범의귀는 범의귀과에 속하는 식물로, 생약명으로는 호이초라고 불리운다. 이외에도 노호이, 바위취, 범의귀풀, 석하엽 등으로도 불리운다. 주로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그 높이는 약 2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조금씩 나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주걱 모양이며 털이 나있다. 7~8월에 뿌리에서 높이 2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오며, 그 끝에서 사람인 형태의 흰 꽃이 핀다. 꽃잎은 다섯장이다. 산의 계곡 사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 잘 자라고, 홍자색의 덩굴을 뻗어서 번식한다. 풀잎에 난 털이.. 2023. 2. 9.
반하 생김새 특징 채취법 먹는법 성분 효능 부작용 정리 반하는 전국적으로 쉽게 발견되는 식물이다. 우리나라 밭에서 흔하게 자라기 때문에 자칫하면 잡초로 보고 넘길 수도 있는 식물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그 약효로 인해 약용작물로 분류되었으며, 그 수요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반하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및 효능 부작용 등에 대해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반하 반하는 천남성과의 식물로 반하라는 생약명 이외에도 끼무릇, 반화, 산마 등으로도 불리운다.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산 가장자리나 들에서 자라난다. 다년생으로 괴경(덩이줄기)이나 종자를 통해 번식이 가능하다. 키는 약 10~20cm로 뿌리 부근에는 희고 작은 구슬형태(덩이줄기)가 존재하기 때문에 쉽게 구분이 가능하다 꽃은 월에 피는데 꽃대가 잎보다 길게 자라난다. 초록색 대롱 모양의 곷턱.. 2023. 2. 8.
박하 특징 및 효능 활용법 박하즙 박하차 부작용 한꺼번에 정리 박하는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박하사탕'의 그 박하이다. 씹었을때 화한 냄새가 난다는 특징이 있다. 박하는 특유의 멘톨향으로 인해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식물이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박하의 생김새와 특징 이용법 효능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박하 특징 꿀풀과에 속하는 식물로 생약명은 박하이다. 이외에도 박화, 번하채, 야식향, 영생, 향하 등으로도 불리운다. 영어로는 우리가 흔하게 들어본 민트라고 불리운다. 박하는 10월 초에 담자색의 꽃이 핀어난다. 잎을 비벼주면 아주 좋은 향기가 난다는 특징이 있다. 박하는 희랍어의 배카임(Becaim)에서 유래하였으며, 실제 희랍 일부 지역에는 아직도 박하를 재배하고 있다. 박하는 크게 동양종(Mentha arvensis)과 서양종(M. piperi.. 2023. 2.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