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40

잇꽃 생김새 특징 성분 효능 이용법 채취법 부작용 한꺼번에 알아보자 잇꽃은 예로부터 사람의 몸에 이롭다고 해서 잇꽃으로 불리던 꽃이다. 특히 염료가 귀하던 과거에는 붉은색 염료로도 흔히 사용되었던 꽃이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서 잇꽃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과 효능 복용법 등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한다. 잇꽃 잇꽃은 국화과의 식물로 사람에 이롭다고 해서 잇꽃이라고 불려져 왔으며, 한방에소는 꽃이 붉은 색소르 포함하기 때문에 홍화라고도 불리었다. 이외에도 홍화자 황람 오람 자홍화 연지 등으로도 불리운다. 고대에는 꽃잎에서 추출한 색소로 옷감에 물을 들이는 염료와 입술 연지의 원료로 사용되었다 원산지는 이집트이며 일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6~7월에 꽃을 피우고 줄기는 50cm~100cm 정도의 높이이다. 잎은 어긋나게 자라는 형태이며 4~8cm 정도의 길이이다. .. 2023. 4. 11.
인동덩굴 생김새와 특징 성분 효능 효과 이용법 총정리 인동덩굴은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 양지바른 곳에서 흔히 발견할 수 있는 식물이다. 근처의 나무나 물체들을 감고 올라가는 덩굴이 특징이며 그 꽃의 특성을 인해 많은 별명을 가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인동 덩굴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효능 효과 활용법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인동덩굴 인동덩굴은 산지나 들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로 우리나라에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반상록성 관목의 덩굴식물로 포기나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 6~7월에 꽃이 피고 덩굴줄긴ㄴ 다른 물체를 감아 올라가는 특성이 있다. 마주나는 잎은 길이 3~3cm 정도이며 꽃은 백색에서 황색이다. 열매는 둥글고 흑색이며 어린순은 식용한다. 관상용으로도 활용하는 식물이다. 인동은 여름에 핀 꽃이 겨울에도 일부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겨울.. 2023. 4. 5.
월계수 생김새 및 특징 성분 채취법 이용법 활용법 효능 효과까지 한번에 알아보자 월계수는 향신료로서 자주 사용되는 식물이다. 주로 고기 잡내를 잡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는 특징이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월계수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효능 효과 등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 한다. 월계수 월계수는 지중해 연안 원산의 자웅이주의 늘푸른큰키나무이며 나무의 키가 15m 이상까지 자라난다. 잎은 고무질이고 비벼서 냄새를 맡으면 향기가 난다. 4~5월에 담황색의 작은 꽃이 잎겨드랑이 부분에 핀다. 정원에서 쉽게 볼 수 있으나, 대부분이 수나무인 경우가 많아 열매를 맺지는 않는다. 월계수는 고대 그리스나 로마시대에 경기의 승자 또는 전투의 승리자 등에 쓰이는 월계관을 만들때 사용되었다. 월계수의 나무 가지를 엮어서 만든 것이 월계관이며, 승리와 영광을 상징했다고 한다. 월계수의 다른 이름은 월계엽 또.. 2023. 4. 4.
여뀌 생김새 특징 성분 효능 효과 먹는법 이용법 한꺼번에 알아보자 여뀌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풀로 쉽게 볼 수 있는 풀이기도 하다. 습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풀로 평지보다는 낮은 지대에서 잘 자라난다는 특징이 있다. 오늘은 이 흔해보이지만 여로모로 활용도가 높은 여뀌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및 효능 효과 이용법 등에 대해서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여뀌 여뀌는 전국적으로 분포하며 들이나 개울가의 습지에서 자라는 일년생 초본으로, 종자로 번식한다. 6~9월에 꽃이 피어나며 줄기는 높이 40~80cm로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기를 하며 길이는 4~12cm 정도의 피침형으로 양끝이 좁고 표면에 털이 없으며 녹색이다. 씹으면 맵고 약간 적색을 띄는 꽃이 피어난다. 여뀌는 꽃이 피기 전에는 빨간 쌀을 붙여놓은 것처럼 있다가, 꽃이 피어나면 분홍색으 작은 꽃이 피어난다 .. 2023. 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