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40

얼레지 특징 효능 성분 채취법 활용법 먹는법 부작용 정리 얼레지는 백합과의 식물로 봄나물로 먹으면 식욕을 돋워주는 역할을 한다. 얼룩얼룩한 반점 때문에 얼레지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잎과 뿌리가 육질이 부드러워 먹기 좋은 산야초이기도 하다. 오늘은 구황식물로도 활용되어 왔던 얼레지의 특징과 성분 효능 이용법 부작용 등에 대해 포스팅해보려 한다. 얼레지 얼레지는 백합과의 식물로 생약명으로는 차전엽산자고 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가재무릇, 얼네지, 어사초 등이 있다. 보라색과 녹색이 섞여있는 2장의 잎에서 줄기를 뻗어 꽃을 피우는데, 꽃잎은 6장이며 땅을 향해 꽃잎이 달린다. 재미있게도 잎이 1장만 있을 때는 꽃이 피지 않는다. 비눌줄기(많은 양분을 저장하여 비대해진 잎이 빽빽하게 자라서 만들어진 땅속줄기) 가 땅속 깊이 30cm가량 파고 들어가 있어서 당기면 쉽게 .. 2023. 1. 16.
쑥 특징 성분 효능 활용법 부작용 총정리 쑥은 흔하디 흔한 풀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쑥을 다양하게 활용해 왔다. 쑥떡은 물론 녹즙의 재료로도 활용해 왔으며, 국을 끓일때에도 이용해왔다. 오늘은 쑥의 특징과 성분 효능 이용법 등에 대해서 한꺼번에 정리해보려 한다. 쑥 쑥은 우리나라에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다년생 풀이다. 뿌리 줄기나 종자로 번식한다.높이는 약 60~120cm 이며 털이 있고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잎은 윗 표면은 녹색이며, 뒷면은 우윳빛을 띄면서 향기가 난다. 낯설겠지만 쑥은 7~10월에 꽃을 피운다. 꽃은 잎 사이에 나온 꽃대 위에 연분홍의 작은 꽃이 이삭모양으로 피어난다. 꽃이 진 후에는 9~10월에 익는다. 쑥은 우리나라 단군신화에 나올 정도로 익숙한 풀로, 떡에 넣어 먹거.. 2023. 1. 16.
삼지구엽초 생김새 특징 구분법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삼지구엽초는 3개의 가지가 각각 3개씩 총 9개의 잎을 가지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어떻게 보면 익숙치는 않은 풀이지만 예로부터 자양강장·통증 등에 효능을 보여왔으며,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가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삼지구엽초의 특징과 생김새 이용법 효능 부작용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는 꽃의 모양이 배의 닻과 닮아있어, 일명 닻꽃이라고도 불리운다. 구릉이나 산의 반음지에서 자라는 여래하살이 풀로, 높이는 30cm 정도이다. 3개의 가지에 각각 3개씩 잎이 돋아나 총 9개의 잎이 생기기 때문에 삼지구엽초라는 명칭이 붙었다. 뜰이나 화분에 심어 기르는 풀로, 4~5월경 꽃이 피어난다. 꽃은 아래로 향해 피어나며, 색깔은 옅은 노란색을 띈다.매자나무과에 속하며 생약명은 .. 2023. 1. 15.
민들레 성분 효능 채취 먹는법 부작용 국산민들레 서양민들레 구분 민들레는 봄날 풀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꽃은 황금색을 띄고 있어 보기에 좋으며, 꽃이 진 이후에는 솜 같은 날개가 달린 씨앗이 하늘에 날린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흔한 민들레도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약용으로 활용된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민들레의 특징과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민들레 민들레는 국화과의 꽃으로, 생약명은 포공영이다. 이외에도 포공초나 모습둘레, 지정, 감잠초 등으로도 불리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4~5월경 들이나 논 밭, 구릉 등에서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봄의 상징이기도 하다. 잎은 뭉쳐서 나며 옆으로 퍼져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30cm 가량의 속이 빈 꽃줄기 끝에 꽃.. 2023. 1.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