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들레는 봄날 풀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꽃은 황금색을 띄고 있어 보기에 좋으며, 꽃이 진 이후에는 솜 같은 날개가 달린 씨앗이 하늘에 날린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흔한 민들레도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약용으로 활용된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민들레의 특징과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민들레
민들레는 국화과의 꽃으로, 생약명은 포공영이다. 이외에도 포공초나 모습둘레, 지정, 감잠초 등으로도 불리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4~5월경 들이나 논 밭, 구릉 등에서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봄의 상징이기도 하다. 잎은 뭉쳐서 나며 옆으로 퍼져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30cm 가량의 속이 빈 꽃줄기 끝에 꽃이 하나씩 피어난다. 보통 노란 꽃을 피우지만 흰색 꽃이 피기도 한다.
꽃이 피기전에는 식용 또는 관상용으로도 이용이 된다. 꽃이 진 후에는 씨앗에 솜날개가 붙은 형태로 변하며, 바람에 따라 씨앗이 넓게 퍼져나간다.
민들레의 성분
민들레의 윗부분과 뿌리에는 다음과 같은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 콜린
- 이눌린
- 펙틴
- 타락사스테롤 등
콜린은 비타민B 복합체로 지방간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이눌린은 소화효소에 반응하지 않으며 장내 미생물에 의해 발효되어 배변을 촉진시키는 역할을 한다.
펙틴은 식이섬유의 일종으로, 변비 예방 및 해소 기능을 한다. 또한 유산균을 증식시켜 장내 건강을 유지한다.
타락사스테롤은 진통 및 소염 효과를 나타낸다.
민들레 채취
민들레의 채취 및 보관은 다음과 같다.
- 꽃이 피기 전의 민들레를 뿌리째로 캔다
- 적당히 잘라 깨끗하게 씻는다
- 햇볕에 잘 말린다,
- 종이봉투에 넣어 그늘지고 서늘한 곳에 보관한다.
민들레 활용법
식욕이 없을때
- 식욕이 없을때는 민들레의 잎이나 뿌리 7g을 준비한다
- 종이컵 한컵 분량의 물(약 200mg)에 넣고, 그 양이 절반이 될때까지 졸여준다.
- 식후 3회로 나누어 따뜻하게 마신다.
민들레를 달인 물은 위를 튼튼히 하고 간장병에 효과적이다.
녹즙 재료로 활용
- 녹집에 넣어 같이 갈아마신다.
- 쓴맛이 있으나 젖이 잘 나오게 하는 약제로 사용된다.
- 돌미나리, 케일 등과 같이 즙을 내어 같이 마시면 좋다.
나물 요리로 활용
- 이른 봄에 어린잎을 따서 나물로 먹는다.
- 비타민이 풍부하여 비타민 공급원으로 손색이 없다
민들레차
- 꽃이 피기전에 뿌리를 캔다
- 잎줄기를 떼어내고 깨끗하게 씻어준다
- 햇볕에 말린다.
- 뿌리를 잘라서 차로 만들어 마신다. 커피 대용을 좋다.
민들레 약효
민들레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 청열 : 열을 내림
- 해독 : 독을 해소함
- 이뇨 : 소변 촉진
- 종기 : 종기를 줄여줌
- 위염 :위염에 효과
- 기관지염 : 기관지염에 효과
- 간염 : 간염에 효과
- 항균 : 균을 억제
- 담낭염 : 담낭염에 효과
- 최유 : 젖이 잘 나오게 함
민들레 부작용
민들레는 기본적으로 차가운 성질을 띄고 있다. 때문에 평소에 몸이 찬 사람은 복용시 설사나 복통 등의 부작용들이 나타날 수도 있다. 또한 모세혈관을 확장시키는 역할도 있기 때문에 저혈압 환자들에게는 위험할 수도 있다.
국산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 구분
민들레는 국산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가 있다. 국산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를 구분하는 이유는, 서양민들레는 약이나 식용으로 사용하기 애매하기 때문이다. 참고로 서양 민들레는 샐러드용으로 일본에 들여온 것이 국내에 들어왔다고 전해진다.
국산민들레의 구분은 크게 색깔과 꽃받침의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색깔
국산 민들레의 경우 흰색을 띄고 있다고 하며, 서양 민들레는 노란색의 꽃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이는 사람마다 주장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의 꽃받침 모양도 확인해주는 것이 좋다.
꽃받침 모양
확실하게 구분해주기 위해서는 꽃받침의 모양을 참고해주는 것도 좋다. 국산 민들레와 서양 민들레의 차이는 꽃받침의 모양에서 명확하게 드러난다. 국산민들레의 경우 꽃받침이 꽃을 온전히 받치고 있는 형태이나, 서양 민들레는 꽃받침이 밑으로 쳐져있는 형태이다.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쑥 특징 성분 효능 활용법 부작용 총정리 (0) | 2023.01.16 |
---|---|
삼지구엽초 생김새 특징 구분법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0) | 2023.01.15 |
머위의 특징과 성분 효능 부작용 요리법 (0) | 2023.01.14 |
둥굴레 특징과 효능 먹는법 및 활용법 (0) | 2023.01.12 |
두릅나무 특징 성분 효능 채취방법 먹는법 정리 (0) | 2023.01.1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