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3

민들레 성분 효능 채취 먹는법 부작용 국산민들레 서양민들레 구분 민들레는 봄날 풀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꽃은 황금색을 띄고 있어 보기에 좋으며, 꽃이 진 이후에는 솜 같은 날개가 달린 씨앗이 하늘에 날린다는 특징이 있다. 이렇게 흔한 민들레도 식용으로 사용되거나 약용으로 활용된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민들레의 특징과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민들레 민들레는 국화과의 꽃으로, 생약명은 포공영이다. 이외에도 포공초나 모습둘레, 지정, 감잠초 등으로도 불리운다.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4~5월경 들이나 논 밭, 구릉 등에서 노란색 꽃을 피우고 있는 모습을 흔히 볼 수 있으며 봄의 상징이기도 하다. 잎은 뭉쳐서 나며 옆으로 퍼져나간다는 특징이 있다. 4~5월에 잎 사이에서 나온 30cm 가량의 속이 빈 꽃줄기 끝에 꽃.. 2023. 1. 14.
머위의 특징과 성분 효능 부작용 요리법 머위는 봄에 흔히 볼 수 있는 풀이다. 전국 곳곳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이며, 약이나 밥 반찬으로도 활용된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머위의 생김새와 특징 효능 먹는법 활용법 등에 포스팅 해보려고 한다. 머위 머위는 전국의 들과 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이다. 여러해살이풀로 가늘고 긴 땅속 줄기를 3~4개 정도 가지고 있다.7~8개의 마디를 이루고 있으며 각 마디에서 둥근 잎이 4~5장 정도 돋아난다. 암수가 나뉘는 풀로, 암그루에 암꽃이 많이 있다. 암꽃이 지면 암곷 이삭이 약 30cm 자라난다. 추운 겨울에도 때가 되면 얼음을 뚫고 나와 싹이 트기 때문에, 관동화라고도 불리운다. 관동화 이외에도 봉두채라고 불리기도 한다. 국화과의 식물이며 머위라는 명칭 이외에도 머우, 머구, 머웃대라고도 불리운다... 2023. 1. 14.
둥굴레 특징과 효능 먹는법 및 활용법 둥굴레라고 하면 둥굴레차를 떠올리기 쉽다. 둥굴레는 차 형태로 자주 접할수 있으며, 워낙 흔하다 보니 효능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둥글레의 특징과 생김새, 효능 및 이용법 채취방법 등에 대해서 포포스팅해보려 한다. 둥굴레 둥굴레는 백합과의 식물로, 잎맥이 둥글게 모아지는 형태에서 이르이 유래되었다. 고고한 자태로 인해 신선과 같다고 해서 신선초라고도 불리운다. 이외에 아름다운 대나무 잎과 같다고 해서 옥죽이라고도 불리운다. 산에서 수련을 하는 불교의 스님들이나 도교의 도사들이 둥굴레를 곡식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였으며, 이 때문에 선인들이 먹는 음식이라고 하여 선인반이라고도 불리었다. 실제 우리나라 역사에서도 신라의 원효대사가 옥죽을 먹으며 수도했다는 이야기가 .. 2023. 1. 12.
두릅나무 특징 성분 효능 채취방법 먹는법 정리 우리나라의 야산을 걷다보면, 크고 가시가 매우 많은 나무를 종종 볼 수 있다. 이는 두릅나무일 가능성이 크며, 특히 두릅나무의 어린순은 봄의 별미로 유명하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두릅나무의 생김새와 특징 영양소, 성분 및 효능에 대해 정리해 보려 한다. 두릅나무 두릅나무는 가시가 많은 나무이다. 이러한 가시는 두릅나무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다른 나무들과의 구분이 매우 쉽다. 4월에 가지에 어린 순이 돋아나는데, 10cm 이내로 돋아난 것을 따서 데쳐 먹는다. 이러한 순을 가만히 두게 되면 8월 경에는 희고 작은 꽃이 개화하며, 꽃이 지면 둥글고 작은 검은색 열매가 열린다. 두릅나무 성분 두룹은 주로 봄철 순을 따서 많이 먹지만, 뿌리나 줄기 껍질을 약용으로 활용하기도 하였다. 두릅의 잎과 뿌리에는.. 2023.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