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약모밀 특징 채취법 성분 효능 효과 활용법 부작용까지 한꺼번에 알아보자

by Jutincase 2023. 3. 23.

어성초 블로그 썸네일 사진
약모밀(어성초)

약모밀은 그 자체의 이름보다는 어성초라는 이름으로 더욱 익숙한 식물이다. 물고기와 비슷한 비린내가 나지만, 그 효과와 활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명한 식물이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약모밀의 특징과 채취법 특징 성분 효능 효과 활용법 부작용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약모밀

약모밀은 다소 습기가 많은 반 음지에서 자생하는 풀이다. 여러해살이 풀이며 독특한 냄새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삼백초과의 식물로, 다른 이름으로 어성초, 집약초, 즙채, 어성채 로도 불리운다.

 

높이는 약 40cm까지 자라난다. 잎은 40cm 정도로 곧게 자라나며 잎은 드문드문 어긋난 형태이다. 잎의 색깔은 푸른빛을 띄는 암록색이며 심장 형태이다. 촉감은 매우 부드럽다. 잎자루 밑에는 턱잎이 붙어 있다.

 

6~7월에 줄기 위쪽에 4장의 하얀 꽃 턱잎이 벌어지고, 꽃잎이 없는 황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관상용으로 심기도 하지만, 물고기 냄새가 나기 때문에 어성초라고 하며 주로 약용으로 재배된다. 참고로 꽃이 피는 시기에 땅 위의 잎줄기를 잘라서 말린 것을 어성초 또는 십약이라고 한다.

어성초 사진
어성초 사진

채취법

약모밀의 채취법은 다음과 같다,

  1. 생육이 왕성할 때 잎줄기를 잘라 씻어준다
  2. 2~3일간 햇볕에 말려준다
  3. 적당히 잘라서 종이봉투에 넣어준다
  4. 서늘하고 건조한 곳에 보관한다.

성분

어성초의 주요 성분은 다음과 같다

  • 쿠에르치트린
  • 쿠에르체틴
  • 이소쿠에르치트린
  • 레이노우린
  • 하이퍼린

위의 성분들은 플로보노이드 성분의 일종이다. 플라보노이드는 자연계에 흔히 볼 수 있는 노란색의 색소 영양분으로, 대표적인 성분으로는 항산화제로 많이들 사용되는 프로폴리스가 있다.

 

쿠에르치트린은 10만 배로 희석해도 이뇨작용 및 강심작용 모세혈관 강화 작용이 있다고 한다. 이소쿠에르치트린 또한 비슷한 작용을 가지고 있다.

효능 효과

어성초의 효능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 항균
  • 소염
  • 완하
  • 이뇨
  • 모세혈관 강화
  • 피부병
  • 화농
  • 종양
  • 창당
  • 고혈압
  • 항암
  • 항바이러스
  • 중금속 배출
  • 정력 증강

이용법

축농증

  1. 어성초 20~30g(말리지 않은 경우 100~150g)을 준비한다
  2. 500ml의 물에 넣어준다
  3. 물이 반까지 줄어들 때까지 졸여준다
  4. 하루에 세 번 나누어 마신다.
  5. 이외에도 우려낸 물에 소금을 한 티스푼 정도 미량 첨가하여 하루 2~3번 콧구먹으로 넣었다가 입으로 뱉어낸다.

만성중이염 or 화농성중이염

  1. 어성초 20~30g을 달여준다.
  2. 하루에 3~4번 나누어 마신다
  3. 20~30일 정도 지나면 증상이 완화된다. 심각한 중이염도 대부분 증상이 좋아진다.
  4. 어성초 물은 소염 작용을 갖는다.

변비

  • 어성초 말린 것을 날마다 20~30g을 달여서 마셔준다

치질 or 치루

  1. 말린 어성초를 진하게 달여서 차대신 마셔준다
  2. 어성초 말린 물로 통증 부위를 씻어준다.
  3. 어성초 달인 물로 목용을 해도 도움이 된다. 어성초 달인 물을 욕탕에 풀어준 후 허리까지만 담가준다.
  4. 치루에는 어성초를 은박지로 싸서 까맣게 태워준 이후 참기름으로 개어 고약처럼 만들어 통증부위에 붙여준다,

습진 or 무좀

  1. 어성초 15g, 인동꽃 5~10g을 잘게 썰어준다
  2. 물 300ml에 넣어준다. 물양이 반이 될 때까지 졸여준다.
  3. 하루 3번 식전에 마신다
  4. 달인 물로 문제 부위를 자주 씻어준다.

폐렴

  1. 말린 어성초와 도라지를 2대 1의 비율로 섞어준다.
  2. 날마다 20g씩 달여 하루에 3~4번 나누어 마신다.

여드름

  1. 어성초 20g을 진하게 달여준다
  2. 하루 3~4번 마셔준다
  3. 어성초 생즙을 하루 3~5번 발라준다.

이외에도 어성초 비누나 어성초 연고 또한 있다. 특히 일본에서 유행인데, 이는 원폭을 맞은 히로시마에서 제일 빠르게 소생한 식물이 어성초였기 때문이다. 

 

복용량은 처음에는 소량으로 복용해 보고 효과가 없으면 조금씩 증량해 나간다.

부작용

어성초는 특별한 부작용이 없기 때문에 차 대신 꾸준히 마셔도 좋다. 특히 나이 든 사람은 동맥경화증 예방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꾸준히 먹어주는 것이 좋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