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애기똥풀 성분 부작용 효능 효과 먹는법 한꺼번에 알아보자

by Jutincase 2023. 3. 23.

애기똥풀 블로그용 썸네일 사진
애기똥풀 효능과 효과

애기 똥풀은 양지바른 제방이나 구릉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풀이다. 약용으로 종종 사용되지만, 독성이 있어 활용할때 주의할 필요가 없는 식물이기도하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기똥풀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및 효능 효과 이용법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애기똥풀

애기똥풀 사진
애기똥풀

애기 똥풀은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잘 자라는 식물이다. 주로 제방이나 구릉 등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양귀비과의 식물로 다른 이름으로는 백굴채, 백굴채근, 까치다리, 버짐풀, 토황련, 젖풀 등이 있다.

 

풀의 키는 약 4~50cm 정도이고, 4~5월 경 가지 끝에 노란색의 꽃을 피운다. 줄기를 꺾으면 노란색의 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약용으로 사용하지만 독성이 있기 때문에, 녹즙의 원료로는 사용하지 않는다. 한때 일본에서는 위암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그 효과는 명확치 않았다고 한다. 대신 위염, 위궤양 등에는 효과를 보였다.

 

이후 밝혀진 사실에 따르면 애기 똥풀의 켈리도닌 성분은 종양(암)에 있는 섬유아세포의 유사분열을 억제하는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한다.

성분

애기똥풀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켈리도닌
  • 켈레리트린상
  • 상구이나린
  • 콥티신
  • 베르베린

켈리도닌은 이소퀴놀린게 알칼로이드 성분으로 세포분열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켈리도닌은 신경계에 중요한 신경전달 물질을 전달하는 단백질에 달라 붙어서 그 작용을 억제하거나 흥분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성분은 애기똥풀을 섭취하는 곤충을 막기 위해 생성되는 것으로 보인다.

 

켈레리트린이나 상구이나린은 애기똥풀의 뿌리에 있는 성분이다. 이 성분들은 세균의 세포벽을 합성할 수 없게 만든다. 따라서 빠르게 증식하는 세균들은 세포벽을 만들어내지 못하고 사멸하게 된다.

부작용

애기똥풀은 계속해서 언급하였듯이, 독성이 있어 부작용이 있다. 애기똥풀의 대표적인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 경련
  • 점막의 염증
  • 요혈
  • 변혈
  • 눈동자의 수축
  • 혼수상태
  • 호흡 마비

이로 인해 약으로는 쓰일 수 있으나 식용으로는 적합하지 않다.  실제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하였을때, 다른 독초와도 비교하였을때 그 치사량이 매우 강력하였다고 한다.  실제 수치로 비교해보자면, 쥐의 반수치사량(전체 실험대상의 50%가 사망하게 만드는 투여량)은 아래와 같다.

  • 애기똥풀 : 19.4mg/Kg 
  • 황기 :32.25g/Kg 
  • 백화사설초 :104g/Kg  

자세히 읽어보면 단위가 다르다. 즉 애기똥풀은 미량에도 충분한 독성을 가지고 있다는 말이다.

활용법

벌레 물렸을때

  1. 생잎줄기 10~20g을 적당히 잘라준다
  2. 약용알코올 100cc에 담궈준다
  3. 일주일 후에 걸러준다.
  4. 모기나 벌 송충이 등의 벌레에 쏘였을때 환부에 발라준다.

달인 물 마시기

  1. 꽃과 잎이 달린 전초를 채취한다.
  2.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말려서 사용한다.
  3. 마른 애기똥풀 2~4g을 물 300ml 붓고 끓여준다.
  4. 물이 절반까지 줄어들면 차처럼 수시로 마셔준다.
  5. 독성이 있으므로 과음하지는 않는다.

효능 효과

애기 똥풀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 진통 작용
  • 진경 작용
  • 위염, 위궤양, 위암
  • 간장병
  • 이뇨
  • 해독
  • 진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