범의귀는 고산지대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예로부터 아이들의 경련에 특효약으로 취급되어 왔다. 오늘은 범의귀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과 효능 활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범의귀
범의귀는 범의귀과에 속하는 식물로, 생약명으로는 호이초라고 불리운다. 이외에도 노호이, 바위취, 범의귀풀, 석하엽 등으로도 불리운다.
주로 고산지대에서 자라며 그 높이는 약 20cm 정도이다. 전체에 털이 조금씩 나있다. 잎은 뿌리에서 뭉쳐나고 잎자루가 거의 없으며, 긴 타원형 또는 주걱 모양이며 털이 나있다.
7~8월에 뿌리에서 높이 20cm 정도의 꽃줄기가 나오며, 그 끝에서 사람인 형태의 흰 꽃이 핀다. 꽃잎은 다섯장이다. 산의 계곡 사이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 잘 자라고, 홍자색의 덩굴을 뻗어서 번식한다.
풀잎에 난 털이 호랑이 귀의 털과 같고, 꽃 모습은 호랑이의 귀를 닮았다고 해서 범의귀라는 이름이 붙었다.
활용법
범의귀는 7~8월경 꽃피는 시기에 충분히 자란 잎줄기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이렇게 말려준 범의귀를 호이초라고 부른다. 이뇨에 효과가 있는 질산칼륨 성분과 염화칼륨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그외 타닌이나 고미질은 베르게닌을 함유하고 있다.
어린이 경련
- 잎의 즙을 소금과 섞어서 마시게 한다.
- 경련시 혀를 깨물지 않도록 이빨 사이에 가제로 싼 스푼등을 끼워둔다.
- 발을 따뜻하게 하고 머리를 차게 해준다.
종기 고름 제거
- 생잎을 불에 가벼게 쬐어 구워준다
- 종기 부위에 하루에 2~3회 발라준다.
외상 또는 외이염
- 잎의 생즙을 외상이나 외이염이 문드러진 곳에 바른다.
생잎 튀김
- 튀김의 재료로 활용한다.
범의귀 차
- 하루 10g을 컵 3잔 정도(약 600mg)의 물에 넣는다.
- 약한불에 물이 반정도 줄어들때까지 졸여준다.
- 식후 2시간 후 공복에 3회로 나누어 마시면 위와 장에 좋다.
효능 효과
범의귀 효능은 다음과 같다.
- 청열 : 몸 내부의 열을 내려준다.
- 해독 : 몸안의 독성을 해독해준다.
- 거풍 : 몸 안에서 풍의 기운을 내보내준다.
- 중이염 : 중이염에 효과를 볼 수 있다.
- 습진 : 습진에 효과가 있다.
- 단독 : 피부가 벌겋게 부어오르고 화끈거리며 열이나는 병증에 효능이 있다.
부작용
바위취는 기본적으로 찬 성질을 가지고 있어 몸에 열이 있거나 할때 사용되는 약초이다. 때문에 평소에 몸이 차가운 사람이라면 복용에 주의해주는 것이 좋다. 또한 약간의 독성도 존재하기 때문에 과한 양을 섭취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숭아나무 생김새 특징 활용법 도인 백도화 치질 효능 효과 (0) | 2023.03.16 |
---|---|
별꽃 생김새 특징 활용법 먹는법 효능 효과 부작용 정리 (0) | 2023.02.09 |
반하 생김새 특징 채취법 먹는법 성분 효능 부작용 정리 (0) | 2023.02.08 |
박하 특징 및 효능 활용법 박하즙 박하차 부작용 한꺼번에 정리 (0) | 2023.02.08 |
매실나무 생김새와 특징 매화 활용법 매실주 매실청 엑기스 담그는법 효능 부작용 정리 (0) | 2023.02.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