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초

삼지구엽초 생김새 특징 구분법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by Jutincase 2023. 1. 15.

삼지구엽초 사진
삼지구엽초 사진

삼지구엽초는 3개의 가지가 각각 3개씩 총 9개의 잎을 가지고 있어 붙여진 이름이다. 어떻게 보면 익숙치는 않은 풀이지만 예로부터 자양강장·통증 등에 효능을 보여왔으며, 재미있는 이야기도 많이 가지고 있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삼지구엽초의 특징과 생김새 이용법 효능 부작용에 대해서 포스팅해보려고 한다.

삼지구엽초

삼지구엽초는 꽃의 모양이 배의 닻과 닮아있어, 일명 닻꽃이라고도 불리운다. 구릉이나 산의 반음지에서 자라는 여래하살이 풀로, 높이는 30cm 정도이다. 3개의 가지에 각각 3개씩 잎이 돋아나 총 9개의 잎이 생기기 때문에 삼지구엽초라는 명칭이 붙었다. 

 

뜰이나 화분에 심어 기르는 풀로, 4~5월경 꽃이 피어난다. 꽃은 아래로 향해 피어나며, 색깔은 옅은 노란색을 띈다.매자나무과에 속하며 생약명은 음양곽이라고 불리며, 그 외에도 선령비 방장초 가승마 등으로도 불리운다. 삼지구엽초의 이름과 관련된 이야기에는 다음과 같은 재미있는 기록들이 있다.

 

  • 중국 의서인 본초강목에 의하면 발정난 양이 이 풀을 먹고 백번 넘게 교합했다는 기록이 있어 음양곽이라는 명칭이 붙었다.
  • 산에서 한 노인이 이 풀을 먹은 후 , 지팡이를 버리고 내려와 회춘하였다고 한여 방장초라고 불리었다.

 

삼지구엽초 구분법

삼지구엽초는 그 모습이 '꿩의다리아재비'와 '깽깽이풀'과 유사하여 구분하기가 어렵다. 꿩의다리아재비는 말려 놓으면 삼지구엽초와 거의 유사하여 전문가 외에는 구분이 어렵다. 깽깽이풀의 경우에는 땅위로 나온 줄기가 없고, 잔털이 많으며 뿌리에서 붉으스름한 잎이 특징이다. 또한 꽃대가 올라온 뒤에야 꽃이 핀다는 특징이 있다.

꿩의다리아재비
꿩의다리아재비

 

삼지구엽초 성분

삼지 구엽초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이카린
  • 타닌
  • 리놀레인산
  • 팔미틴산 등

이카린은 남성의 '그것'에 통하는 혈액 공급을 억제하는 효소를 저해하여 혈류랑을 증가시켜 발기력을 높인다.

타닌은 혈관의 탄력을 높이는 역할을 하며, 치아의 에나멜 형성에 도움을 주어 충치 예방에도 도움이 된다.

리놀레인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식사에서 섭취해야 하는 필수영양소이다. 암의 발생이나 증식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며 유방암, 폐암, 대장암에 유효하다고 한다. 또한 뇌경색이나 심근경색, 고혈압, 고지혈증에도 효과가 있다.

팔미틴산은 콜레스테롤을 낮추고 혈즌을 분해햐아 심장병이나 고혈압의 위험을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삼지구엽초 채취

삼지구엽초의 채취시기와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5~6월 땅 윗부분을 채취한다
  2. 깨끗하게 씻어준다
  3. 2~3일간 햇볕에 말린다
  4. 적당히 말려서 종이봉투에 넣어 서늘하고 그늘진 곳에 보관한다.

 

삼지구엽초 효능

삼지구엽초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 정력 : 혈류를 증가시켜 발기력을 증가시킨다.
  • 자양강장 : 피로 회복에 도움이 된다.
  • 저혈압 : 낮은 혈압을 정상화시킨다.
  • 거풍 : 한의학엣허 말하는 모든 병의 근원을 풍사라 하며, 풍사를 제거하는 역할
  • 식욕부진 개선 

삼지구엽초 먹는법

삼지구엽초 담금주

  • 말린 삼지구엽초 70g을 소주 1.8L에 담가 3개월 동안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 삼지구엽초를 걸러낸 후 매일 취침 전에 1잔을 물에 타서 엷게 마신다.

자양강장, 피로회복,저혈압증,불면증,식욕증진 등에 효과가 있다.

 

이외에도 '선령비주'라는 담금주가 있으며, 담그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 말린 약재 200g을 100g의 설탕과 함께 2L 소주에 담궈 3개월간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 매일 아침 저녁으로 2번에 걸쳐 조금씩 복용한다.

삼비구엽초 차

  • 말린 삼지구엽초 10g을 물에 달여서 먹는다.
  • 쓴 맛이 강하다
  • 자양강장, 무릎 또는 허리의 냉증이나 통증에 효과가 좋다.

 

삼지구엽초 부작용

삼지구엽초는 몸에 활력을 돋우는 역할을 한다. 때문에 몸에 열이 많거나, 몸 속에 영양분이 충분치 않은 사람이 장복 또는 다량 복용시 이명이나 갈증, 코피, 위장관 장애가 발생하여 몸이 상할 수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