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명자는 봄에 아름답게 꽃을 피우는 식물로 관상용으로도 키우는 경우가 있다. 이외에도 과실주의 원료 등으로 사용되기도 하며 그 활용도가 높은 식물이기도 하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풀명자의 생김새와 특징 성분 효능 활용법 등에 대해서 정리해보려 한다.
풀명자
풀명자는 장미과의 식물로, 생약명은 목과 또는 화모과로 불리운다. 이외에도 초백해당, 목단자, 일본 모과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키가 30~50cm 정도인 낙엽관목으로 가지에 작은 가시가 있다. 줄기는 밑동에서 눕고 4월 경에 붉은 색의 꽃을 피운다.
모과와 같은 노란색 열매가 열리는데 신맛이 강하다. 실제 모과나무와 한자 이름이 같다는 특징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아가씨 꽃나무 또는 풀명자나무로 불리었다. 간혹 장수매라는 이름을 쓰기도 하는데, 해당 이름은 일본 분재 책에 쓰인 이름이다. 이 나무가 봄에도 가을에도 꽃이 계속 피어서 지어진 이름으로 추정된다.
풀명자 성분
풀명자의 성분은 다음과 같다.
- 구연산
- 주석산
- 링고산
- 과당
구연산 성분은 정혈 작용 및 살균 작용을 하며, 피를 맑게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또한 피로물질은 젖산을 없애서 피로감을 줄여준다.
주석산은 신맛을 나타내는 유기산 성분으로 위장의 pH를 유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링고산은 사과산이라고도 불리우며 몸의 노폐물을 중성화시키며 몸의 순환 사이클을 자극하는 역할을 한다.이로 인해 피로회복 효과를 나타낸다.
과당은 당의 저장형태인 글로코겐과, 즉시 사용하는 포도당이 결합된 형태이다. 매우 효율이 좋은 에너지원이라 볼 수 있다.
풀명자 효능
풀명자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 구토 : 구토를 멈춰 준다
- 이질 : 이질에 효능이 있다
- 식체 : 음식에 비위가 상하는 증상
- 건위 : 위장의 소화기능을 높여준다
- 정장 : 장내 항상성을 유지하며 유해세균 증식 억제
- 이외에도 근육경련, 각기, 부종 등에도 효능을 보인다
풀명자 먹는법
풀명자는 물에 달여먹거나 담금주를 담궈먹으며, 엑기스로 복용하기도 한다.
풀명자차
- 풀명자를 잘게 썰어 5~10g 정도를 달여서 복용한다.
- 근육 경련에 도움이 된다.
풀명자주
- 소주 1.8L에 덜 익은 미숙과를 반으로 갈라 800g 정도를 담아준다.
- 완전히 익은 열매의 경우 씻지 말고 간단하게 닦아서 사용한다.
- 3개월 정도 서늘하고 어두운 곳에 보관한다.
- 과실을 제거한다.
풀명자 주의 경우 취침 전에 물 한잔 정도에 희석해서 마셔준다. 자양강장, 피로회복, 저혈압증, 불면증 등에 효과를 보인다.
풀명자 엑기스
- 과실을 갈아서 즙을 짜낸다
- 짜낸 즙을 푹 고아준다.
- 고아낸 엑기스를 4~5g씩 차로 마셔준다
풀명자의 엑기스를 마셔주면 설사나 식중독, 대장 카타르(대장에 생기는 염증)에 효능이 있다.
풀명자 부작용
한꺼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탈이 날 수 있으며, 근육양이 적은 사람의 경우 많이 먹지 않도록 특히 조심해야 한다.
'약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두충 생김새 특징 성분 효능 먹는법 활용법 부작용 (0) | 2023.01.23 |
---|---|
화살나무 특징 성분 효능 활용법 먹는법 부작용 정리 (0) | 2023.01.19 |
얼레지 특징 효능 성분 채취법 활용법 먹는법 부작용 정리 (0) | 2023.01.16 |
쑥 특징 성분 효능 활용법 부작용 총정리 (0) | 2023.01.16 |
삼지구엽초 생김새 특징 구분법 성분 효능 먹는법 부작용 (0) | 2023.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