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

달맞이꽃의 모든 것 특징과 성분 효능 효과

Jutincase 2023. 1. 11. 00:20

달맞이 꽃은 옛날부터 미국 원주민들이 염증이 생기거나 발진이 생겼을때 약으로 활용했던 약제이다. 백인들에게는 천식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영국에 전래된 이후에 달맞이꽃 종자유는 왕의 만능약이라고 불리우며 귀하게 여겨졌다. 오늘은 달맞이꽃의 특징 효능을 비롯하여 효과 약리기전 등에 대해 정리해보려 한다.

 

달맞이꽃

달맞이꽃은 해외에서 들어온 식물로, 길가나 공터에서 자라는 식물이다. 주로 낮에는 꽃을 오므리고 있다가, 밤에 꽃을 활짝 피우기 때문에 달맞이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때문에 나비가 아닌 나방에 의해 꽃의 수분이 이루어 진다. 아종 중에서는 낮에 꽃을 피우는 낮달맞이 꽃도 존재한다. 

 

달맞이꽃은 속이 여러 칸으로 나뉘어 있고, 각 칸마다 많은 씨가 든 열매를 맺는다. 열매가 익으면 네 갈래로 갈라지며 씨앗들이 방출되기 된다. 달맞이 꽃씨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100개의 무게를 다 합쳐봐야 겨우 0.5g 정도이다.하지만 특이하게도 이 씨앗의 20%는 바로 기름이라고 한다.

 

하지만 달맞이꽃 하나에서 나오는 씨앗의 양이 많지 않아, 이를 모아서 기름을 짜는 것은 쉽지 않다. 때문에 달맞이꽃 종자유 관련 건강식품은 가격이 비싼 편에 속한다.

 

바늘꽃과의 두해살이 풀로 학명은 Oenothera biennis이며, 한방에서는 뿌리를 약재로 사용하였으며 월견초(月見草라고 불렀다.

 

달맞이 꽃의 꽃말은 말 없는 사랑, 기다림, 밤의 요정, 소원, 마법, 마력이다.

길가에 피어 있는 달맞이꽃
길가에 피어 있는 달맞이꽃

 

달맞이꽃 원산지

달맞이꽃의 원산지는 미주 대륙이다. 꽃은 흰색 꽃과 노란색 꽃이 있는데 원산지에 따라 꽃의 색깔이 다르다. 멕시코산은 흰색 꽃을 띄며, 칠레 산은 노란 꽃을 피운다. 우리나라에서는 어느 곳에서든 흔히 볼 수 있다.

 

달맞이꽃 주요 성분

달맞이꽃 기름에 들어있는 주요 성분은 감마리놀렌산으로, 최근 들어 건강 식품으로 각과받고 있다. 달맞이꽃 기름 종자유에 들어있는 감마리놀렌산은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체내 물질의 모체가 된다.

 

리놀렌산은 불포화지방산으로 콩, 옥수수, 해바라기와 같은 식물에서 추출되는 식물성 기름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달맞이꽃 종자유에는 리놀렌산 외에도 체내 생리활성 물질인 감마리놀렌산을 함유하고 있다. 감마리놀렌산은 체내 기관을 조절하는 호르몬 유사 물질을 만드는데 필요한 성분이다.

달맞이꽃 사진
달맞이꽃 사진

 

달맞이꽃 종자유 효능 효과

프로스타글란딘은 흔히 염증반응을 일으키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염증 반응은 부정적 이미지로 보여질 수 있지만, 면역 반응의 일종이다. 주로 면역 세포들이 체내에서 제대로 이동하고 작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한다.

 

프로스타글란딘이 체내에서 일으키는 반응은 다음과 같다.

  • 혈관의 수축과 확장,
  • 기관지 근육의 수축과 이완
  • 위액 분비의 억제
  • 자궁 근육 수축 작용
  • 수분 배설
  • 혈소판 응집의 유도 또는 저해

이를 통해 달맞이꽃 종자유는 다음과 같은 효능을 나타낸다.

  • 다이어트
  • 항혈전효과
  • 월경 전조증 예방
  • 피부 건강 유지
  • 노화 예방
  • 아토피 예방
  • 성인병 예방
  • 관절염에 효과

감마리놀렌산은 혈중 콜레스테롤을 저하시키는 역할을 하며, 혈압을 정상화 시키며 혈액 응고를 막아주는 항혈전 효과를 한다. 즉 노인분들이 혈액 응고를 막기 위해 복용하는 아스피린과 같은 항혈전제와 같은 효능을 갖는 것이다.

혈전증이란 혈액이 응고되어 혈관을 떠돌아다니다가 좁은 혈관을 막아버리는 것이다. 이렇게 되면 뇌졸중이나 심근 경색과 같은 치명적 질병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외에도 감마리놀렌산은 비만증을 예방하고 월경 전조증 예방,피부 건강 유지, 노화 예방 등에 효과가 있다.

 

달맞이꽃 먹는 법

달맞이꽃 섭취는 종자유 그대로 활용하거나 꽃을 차로 담궈서 먹는 방법이 있다. 달맞이 꽃은 하루 1회부터 4회 까지 복용하며, 주로 아침 저녁으로 1.5g 씩 하루 3g 까지 섭취를 한다. 공복에 섭취하면 더욱 좋다고 하니 참고하도록 하자. 종자유

달맞이꽃 종자유 섭취

  • 종자유 그대로 섭취
  • 참기름이나 들기름 대신 음식에 활용

다만 종자유 속의 리놀렌산은 가열하면 그 성분이 변하기 때문에 되도록이면 가열을 피하도록 하자.

달맞이꽃 차

  • 꽃을 설탕과 1:1로 섞어서 효소로 만들어 물에 타 먹는다.
  • 꽃이나 뿌리를 볶아 차로 끓여서 마신다.